수소 충전 인프라주와 모빌리티주 전략
요즘 들어 수소 충전 인프라와 모빌리티 관련 기업들이 쏟아지고 있습니다. 특히 2025년 기준 정부의 수소 충전소 450기 달성 계획과 함께, 관련 기업들의 실적 개선도 눈에 띄는데요. 영업이익과 매출액 모두 두 자릿수 이상 성장한 기업들이 여럿 있습니다.
두산퓨얼셀 실적 상승 및 수소 연료강자
실적 흐름
두산퓨얼셀은 2025년 1분기 기준 전년 대비 매출액이 258.8% 증가하면서 영업이익이 흑자 전환됐습니다. 다만 당기순손실은 24.1% 증가했습니다.
사업 구조
연료전지 상품이 매출의 약 70.6% 비중을 차지하고 있고, 중저온형 SOFC 개발과 영국 세레스파워와의 협력으로 셀스택 양산 기술 확보까지 추진 중입니다.
현대차 모빌리티 – 수소 상용화 동향
상용 차종 증가
2025년 국내에서 판매된 대형 버스 중 거의 20%가 수소버스로 나타났습니다. 이를 통해 수소 모빌리티 확산이 속도를 내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미래 비전
현대차는 Nexo 중심 수소차 상용화와 함께 HTWO 브랜드를 통해 물류·충전 인프라 확보에 공을 들이고 있어요.
효성중공업 & 한화솔루션: 수소 인프라 주도
효성중공업
효성중공업은 2024년 매출 약 4.3조 원, 영업이익은 2,578억 원으로, 수소 관련 변압기·충전 인프라 사업을 확대하고 있습니다.
한화솔루션
한화솔루션은 그린 수소를 연 290톤 생산할 수 있는 설비를 구축 중이고, 2025년까지 관련 기술과 투자도 본격화할 예정입니다.
범한퓨얼셀 & 두산퓨어셀·세레스 합작 생산
범한퓨얼셀
범한퓨얼셀은 수소 충전소 및 연료전지, 잠수함용 수소 모듈을 생산하고, 2025년 약 1,100억 원 규모 투자로 수소 전주기 밸류체인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두산퓨어셀·세레스파워 협력
두산퓨얼셀은 세레스파워의 SOFC 기술을 이용해 국내에서 연료전지 양산을 시작했습니다. 연간 50MW 규모의 설비로 AI 데이터센터, 마이크로그리드 등 수요처 확대에 대응하고 있죠.
정책 기반 시장 확대 트렌드
충전소 시장 규모
2024년 기준 국내 수소 충전소 시장 매출은 약 2.03억 달러였고, 2025~2030년 연평균 13.4% 성장 전망이에요. 2030년엔 약 4.24억 달러 규모로 커질 것으로 보입니다.
정부 수소 전략
한국은 2025년까지 수소 충전소를 전국에 450기 구축하고, 지방자치단체까지 포함해 수소 모빌리티와 인프라 강화에 막대한 예산을 투입 중이에요.
요약 비교표
기업 | 강점 | 최근 실적 혹은 전략 |
---|---|---|
두산퓨얼셀 | 연료전지 기술·국내 점유율 | 매출 +258.8%, 영업흑자 |
현대차 | 모빌리티 중심 수소 상용화 | 수소버스 비중 20% 달해 |
효성중공업 | 수소충전 인프라 기반 | 2024년 매출 4.3조, 영업이익 2,578억 |
한화솔루션 | 그린 수소 생산 설비 | 연 290톤 생산 목표 |
범한퓨얼셀 | 전주기 밸류체인 구축 | 1,100억 원 투자 계획 |
투자전략 간단 정리
- 기술력 중심 투자: 두산퓨얼셀은 실적 턴어라운드와 기술 경쟁력으로 유망합니다.
- 모빌리티 확산 대응: 현대차의 수소 상용화 전략에 주목해보세요.
- 인프라 기반 확보: 효성중공업, 한화솔루션 등은 실적 기반 인프라 확대로 안정적입니다.
- 밸류체인 확대주: 범한퓨얼셀은 수소 전주기 대응이 매력적입니다.
요컨대, 수소 충전 인프라와 모빌리티는 정부 정책, 시장 성장성, 기업 실적 모두 맞물리면서 2025년 기준 유망한 투자 영역이에요. 기업별 전략과 실적을 고려해 투자 포트폴리오를 짜보면 어떨까요?